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메르세데스 벤츠 A클래스 1세대 모델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메르세데스 A클래스는 벤츠가 생산하는 준중형 해치백 세단 라인업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1997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처음 등장하였습니다. 1994년 영국 디자이너인 스티브 매틴이 이 차의 디자인을 담당했는데 이 모델은 처음 등장하였을 당시 외모만큼이나 기술적으로도 진보한 구성을 보여주었고, 더욱이 이 차의 기반으로 탄생된 A93 콘셉트카에서 보여준 충돌 시 엔진과 변속기가 탑승 공간으로 밀려들어가지 않고 바닥 쪽으로 빠져나가는 샌드위치 식 구성의 헨진과 하체 설계가 인상적이었습니다.
1997년 8월에 판매가 시작되었지만, 스웨덴 잡지사가 진행한 엘크 테스트에서 엘크를 가정한 장해물을 피해 방향을 바꾸던 테스트 차량이 전복되어 문제가 생겼었습니다. 벤츠에서는 이 내용을 부인했지만 차량 개발비를 넘는 수준의 큰 비용을 들여 석 달간 차량 판매를 중단하고, 기존에 판매된 차량 2600대를 회수해 ESC 장착과 서스펜션 등을 4개월 동안 고친 후 다시 판매하는 고생을 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1995년 보쉬와 공동 개발을 진행해 S클래스에 상용화한 ESP를 A클래스에 투입해 안전도를 확보하도록 하였습니다.
ESP는 ECU가 자동차의 4바퀴를 각각 브레이크로 제어하여 스핀 방지, 언더스티어 방지, 전복 방지, TCS, ABS 기능이 통합된 안전장비로 1995년 발표되었을 당시에 S클래스에서나 볼 수 있었던 외계인 기술이었던 것을 벤츠의 가장 작은 차인 A클래스에 두 번째로 얹히게 되었습니다. 그 당시 A클래스의 개발비는 약 25억 마르크였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들어간 돈이 자그마치 3억 마르크였습니다.
엔진 라인업은 1.4리터에서부터 1.9리터까지 다양한 라인업이 제공되었으며, 2001년에는 범퍼 디자인을 수정하고, 휠베이스를 약 170mm까지 연장한 라인업을 추가한 마이너 체인지 버전이 제네바 모터쇼에서 선보였습니다. 그 이유는 승차감은 매우 딱딱한데, 휠베이스가 짧고 리콜 후에 행해진 서스펜션 세팅이 전보다 더 단단하게 잡혔기 때문이었습니다. 그 때문에
핸들링에 관해서는 차량의 오너들에게 좋은 소리를 듣지 못했지만, 롱 휠베이스 버전은 이런 문제가 덜하다고 하였습니다.
젊은 사람들이 좋아할 감각의 디자인임에도 불구하고, 독일에서는 중장년층이 주로 연금 차 수요가 꽤 많이 있는 편이었습니다. 2004년에 단종될 때까지 약 110만 대 정도가 판매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대부분의 개체는 우핸들 오디오 레스 차량인데, 일본에서 출고된 차량을 직수입한 차량이 많았기 때문에 한국과 진행 방향이 달리 설계되었고 그 때문에 국내 고속도로 요금소나 드라이브 스루 등지에서 불편을 겪을 수 있으므로 중고로 차량을 구매 시 이 점을 고려하는 게 좋습니다.
최근 벤츠 차량을 보며 드는 생각
메르세데스 벤츠의 역사가 꽤 깊고 다양한 모델이 있다는 것을 이 내용을 조사하면서 많이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요즘에 벤츠 차량을 보면서 제가 드는 생각은 확실히 차량의 디자인이 예전에 비해 젊은 층도 좋아할 만큼 세련되고 있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평소에 차에 관심이 별로 없던 저의 눈길을 끌고 있을 정도이니까요.